한국의 유명 소설가 3번째 - 김유정 작가
안녕하세요 ! 이번이 벌써 한국의 유명소설가 포스팅 3번째네요 !
아직 1,2편을 못보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
https://gguldaeri.tistory.com/10 박경리 작가 소개와 대표작품
https://gguldaeri.tistory.com/11 황순원 작가 소개와 대표작품
이번에는 김유정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해보려고 합니다 !
이 작가님의 대표작품들도 교과서에서 많이 보셨을거에요 !!
봄봄 동백꽃 등등이 대표작품이죠 !! ^^
저는 최근에 이 작품들을 다시 읽어볼 기회가 있었는데
고등학교때 수능공부시절 그 느낌이랑은 다르더라구요 !
여러분들도 꼭꼭 다시한번 읽어보시길 강력추천드립니다 !
정말 아름다운 소설을 많이 쓰신 작가님이에요 ㅠㅠ
1. 작가소개 김유정 작가
김유정(金裕貞,1908년 1월 11일 ~ 1937년 3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강원도 춘천 태생이다.[3] 소설 〈소낙비〉(황순원의 소나기가 아니다)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1935년에 등단했으며, 1937년에 요절할 때까지 주로 농촌을 소재로 한 소설들이 크게 호평받았다. 유정은 여자 이름에 주로 쓰이지만, 소설가 김유정은 남자다.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별도의 아호는 없다.
2. 작가 생애
명문 양반가문으로 태어나서 요절하였지만, 그 전에 2년동안 정말 불꽃처럼 집필활동을 해서
많은 대표작을 남기셨죠. . 그런데 사랑에도 푹빠져 스토킹도 했다니. 새로운 모습이네요 ^^;;
나무위키에서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본관은 조선 시대의 명문 양반 가문 중 하나인 청풍 김씨. 아버지는 김춘식이며 어머니는 청송 심씨로 8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10대조가 대동법 실시에 크게 공헌한 명재상 김육이고, 9대조는 현종의 비 명성왕후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외할아버지인 청풍부원군 김우명이다. 거기에서 계보는 김우명의 넷째 손자 도택(道澤)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고향에서는 꽤 명망 있고 부유한 지주였다.[5] 하지만 신분이 낮은 소작인들에게도 꼬박꼬박 존댓말을 썼다고 한다. 이러한 집안의 후원으로 김유정은 휘문고보와 연희전문에 차례로 입학하여 현대식 교육을 배울 수 있었다.
1936년에는 잡지「여성」(1936년 5월)에 <그 분들의 결혼플랜, 어떠한 남편 어떠한 부인을 마지할까>라는 공동제목으로 시인 박용철의 여동생 박봉자와 김유정의 글이 나란히 실린 것이 인연이 되어 김유정은 얼굴도 모르는 박봉자에게 우발적으로 서른 통의 연애 편지를 쓰는[15] 행동을 하기도 했다.
불행하게도 등단한 지 2년 만인 1937년에 결핵과 치질이 악화되어[16] 29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이 2년동안 김유정은 그야말로 목숨을 불태운 집필 활동을 했는데, 단편작들을 모두 이 때 집필한 것은 물론 결국 미완성으로 끝났지만 장편도 하나 만들었고 심지어는 번역본까지 한 권 만들었다. 이렇게 그가 2년 동안 남긴 작품은 무려 30여 편이나 된다. 그의 열정이나 문학적 재능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 장례는 그의 형제, 조카들, 친구 안회남에 의해 화장으로 치루어져 한강에 유골이 뿌려졌다.
3. 대표작품
봄봄, 동백꽃이 김유정 작가의 대표작품이죠 ! 그중에 동백꽃의 해설을
가져와봤습니다 ! 한번 읽어보세요 !
작품의 주인공이면서 서술자인 ‘나’는 순박하다 못하여 어수룩한 소년이다. 이에 비하여 점순은 활달하고 말괄량이 같은 소녀로서, 소년의 아버지가 소작을 든 마름의 딸이다.
소년에게 관심을 둔 점순은 구운 감자를 주면서 접근하지만, 뜻을 알아차리지 못한 소년은 그것을 거절한다. 무안당한 점순은 드디어 자기 집 수탉과 소년의 집 수탉을 싸움 붙이면서 여러 차례 약을 올린다. 점순네 닭이 힘이 세어 소년의 집 닭이 늘 지게 되자, 화가 난 소년은 닭에게 고추장까지 먹이지만 별 효과가 없다.
어느 날 점순은 호드기를 불며 닭싸움을 붙이고 소년이 산에서 내려오기를 기다린다. 화가 난 소년이 작대기로 점순네 닭을 때려 죽였으나, 마름집 위세를 생각하고 당황하여 울게 된다. 이 때 점순은 소년에게 자기 말을 들으면 일러바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둘은 부둥켜안은 채 한창 흐드러지게 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버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백꽃 [冬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직자용 꿀텐츠 > 한국을 빛낸 작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유명 소설가 5번째 - 최인훈 작가 (0) | 2021.05.25 |
---|---|
한국의 유명 소설가 4번째 - 작가 이효석 (0) | 2021.05.25 |
한국의 유명 소설가 2번째 - 황순원 작가 (0) | 2021.05.25 |
한국의 유명 소설가 1번째 - 박경리 작가 (0) | 2021.05.25 |
한국을 빛낸 시인들 7번째 - 시인 한용운 (0) | 2021.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