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이 지속되고 '중고 신입'에 대한 개념이 등장하다 보니, 중고 신입의 정의와 기존 취업준비생과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기업의 신입 채용에서 '중고 신입'의 뜻과 이에 따른 장점, 단점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1. '중고신입'의 뜻
'중고신입'이라고 하면, "지금 현재 회사를 다니면서 다른 회사의 신입사원 채용전형을 준비하거나, 1년 정도의 업계 경력을 가지고 신입사원 공개채용전형을 통해 이직을 꿈꾸는 취업준비생"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요즘 취업난이 계속되면서 취업 공백기를 줄이기 위해 회사에 입사 후에도 지금 회사보다 조건이 좋은 타사의 신입 채용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분들을 '중고 신입'이라고 묶어서 편하게 부르는 것이죠.
2. '중고신입'의 기준
어떤 회사든 '중고신입'의 기준을 따로 정하는 곳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대략적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중고 신입이란 '입사 후 근무를 1년 정도 하였으나, 이 경력을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다른 회사의 신입사원 채용전형에 지원하는 취업준비생'을 말합니다. 기존 경력을 인정받아 입사 연차나 처우(연봉, 성과급 등)에 우대를 받는지에 따라 경력사원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중고신입의 장점과 단점
대학을 이제 갓 졸업해서 경력이 아직 없는 취업준비생들이 볼 때 실제로 회사나 직무경력이 있는 중고 신입들이 신입사원 채용에서 유리하게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채용담당자와 회사 입장에서 볼 때, 중고 신입이 무조건 유리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이 무조건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회사에서 중고 신입을 채용할 때 생각하는 장점과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중고 신입의 장점]
긴 시간은 아지지만, 타사에서 1년 정도 유사한 업무를 해봤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이점을 인정하여 채용 시 우대할 수 있습니다. 대학을 갓 졸업한 취업준비생들이 회사생활과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런데 중고 신입은 조직생활과 해당 업무에 대한 적응을 이미 기존 회사에서 마치고 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과 업무에 대한 적합성을 중시하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이런 점은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중고신입의 단점]
그러나 위에서 말한 장점이, 다른 의미에서 보면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중고 신입을 다르게 바라보면, '조직에 대한 로열티 부족', '끈기나 책임감 부족'으로 해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고 신입으로 입사 시 확실한 입사 지원동기나 계획이 없다면, '지난번 회사와 마찬가지로 언제든 우리 회사를 떠나 다른 회사로 갈 수 있는 인원'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회사에서 근무한 경력이 6개월이 안되거나, 신규로 지원하는 회사의 업무와 큰 연관성이 없다면 차라리 관련 경력을 입력하지 말고 신입사원으로 지원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신입사원 채용 시 중고신입의 뜻과 장점, 그리고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상황이든 무조건 유리하고 불리한 조건은 없습니다. 그러니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훨씬 중요하겠죠. 다음에 기회가 되면 중고 신입으로서 취업전략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취준생용 꿀텐츠 > 취업 실전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시 남자와 여자의 복장 선택 주의 사항 (0) | 2021.06.07 |
---|---|
면접 1분 자기소개 준비하고 연습하는 방법 (0) | 2021.06.06 |
신입사원 면접 1분 자기소개의 필요성과 중요성 (0) | 2021.06.05 |
신입사원 인턴 면접 시 자유 복장의 기준과 중요성 (0) | 2021.06.02 |
비대면 채용 시대에 화상면접 장소 세팅하는 방법( feat. 인사팀) (0) | 2021.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