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많은 취업준비생들이 면접복장에 대한 기준 때문에 혼란스러워합니다. 어렵게 얻은 면접의 기회이기 때문에 사소한 것 하나라도 더 신경 쓰고 싶은 마음이 '면접복장 기준에 애매함'과 맞물려, 더욱 혼란을 부추기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수년간 면접 진행을 해본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신입사원이나 인턴 면접 시 자유복장의 기준과 복장 선택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Q. '단정한 복장, 자유복장'이면 정장을 안 입어도 되나요 ?
부득이한 상황이 아니라면 가급적 정장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예전보다 신입사원 면접 시 정장으로 기준을 정하는 회사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래도 면접은 취업준비생이 그 회사의 채용담당자와 면접관을 처음 만나는 자리이기 때문에 가급적 정장 착용으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회사 관계자는 취업준비생인 여러분들보다 나이가 많고, 정장에 익숙한 세대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눈높이, 그들의 무의식 속에 '단정한 복장이란 정장 차림'이 자리 잡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면접 전에 '단정한 복장'으로 안내를 받았다면, 가급적 정장 착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정장을 입어야 한다면 세부 기준이 있나요?
복장에 대한 디테일한 기준은 없습니다. 임직원들의 복장 규정을 정해놓은 회사도 본 적이 있지만, 면접복장 기준에 대하여 디테일하게 정해놓은 회사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취업준비생 입장에서는 더 헷갈릴 수도 있죠. 명확한 기준이 없으니, 혹시 내가 이 기준안에 들지 못해서 면접 때 불이익을 받으면 어떡하나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모든 회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디테일한 복장 기준은 없지만, '단정함, 깔끔함'이라는 키워드로 기준을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면접관도 사람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지원자의 외형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그러니, 면접복장을 선택할 때는 '단정함'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Q. 비즈니스 캐주얼이 무엇인가요 ?
비즈니스 캐주얼은, 캐주얼한 옷을 차분한 분위기로 맵시 있게 입는 것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글로 보면 어떤 건지 감이오시나요 ? 이 '캐주얼'이라는 단어가 사람마다, 회사마다 다 해석이 제각각입니다. 일반 정장에 넥타이만 착용하지 않은 것도 비즈니스 캐주얼이라고도 하고, 청바지에 PK티를 입는 것을 비즈니스 캐주얼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입사원이나 인턴 면접 시 비즈니스 캐주얼로 기준이 정해졌다면 가급적 평일에 그 회사를 먼저 방문해보시기를 추천드려요. 여러분이 면접을 보는 회사가 오래전부터 '비즈니스 캐주얼'로 복장 기준을 정하고, 그에 따라 복장에 대한 직원들의 기준이 어느정도 정해진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모든 회사에 다녀올 수 없으니, 면접을 보러 가기 전에 먼저 그 회사의 면접 관련 후기를 검색해보고, 그에 맞춰 복장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신입사원이나 인턴 면접 시 자유복장의 기준과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가장 보수적인 관점으로 이야기를 해보았는데, 각 회사마다 지원하는 직무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많은 회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적인 복장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에는 정장선택부터 스타일링까지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면접 시 남자와 여자의 복장 선택 주의 사항
신입사원이든 경력, 인턴사원이든 면접을 준비할 때 가장 기본은 복장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회사 관계자와 첫 대면을 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첫인상을 결정하는데 큰
gguldaeri.tistory.com
'취준생용 꿀텐츠 > 취업 실전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시 남자와 여자의 복장 선택 주의 사항 (0) | 2021.06.07 |
---|---|
면접 1분 자기소개 준비하고 연습하는 방법 (0) | 2021.06.06 |
신입사원 면접 1분 자기소개의 필요성과 중요성 (0) | 2021.06.05 |
신입채용에서 중고신입의 뜻과 취업의 장점, 단점 (2) | 2021.06.04 |
비대면 채용 시대에 화상면접 장소 세팅하는 방법( feat. 인사팀) (0) | 2021.05.27 |
댓글